중국 SW산업 인력현황
자료)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주요지표(2020.1)
주1) SW제품, IT서비스, 정보보안, 임베디드 시스템SW에 해당하는 인력
디지털전환 추진 여부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디지털전환 추진 분야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SW 신기술 실행 단계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SW기술 도입형태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SW 신기술 분야 인력 현황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학력별 SW인력 현황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직무별 SW인력 현황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조직별 SW인력 현황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전체 연구개발 투자액 중 SW연구개발 투자액 비중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IT 투자액 중 SW 투자액 비중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전체 매출액 중 SW 기여도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융합 실태조사(2020.4)
신SW 사업 분야별∙학력별 인력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0.4)
주1) 신SW 진출 기업 대상으로 한 결과임
주2) 상대표준오차(RSE)의 범위가 30%~60%인 경우(*로 표시)는 주의와 함께 이용 가능한 수치이며, 60% 이상인 경우(**로 표시)는 이용에 주의가 필요
신SW 사업 기술 확보 방식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0.4)
주1) 신SW 진출 기업 대상으로 한 결과임
주2) 품목 구분은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SPRi)’를 따르며 자세한 내용은 ‘소프트웨어산업 품목 분류체계’ 참조
SW 여성 전문인력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0.4)
주1) SW 전문인력은 SW사업 부문에 종사하는 인력에서 경영지원/전략기획, 영업/마케팅 인력을 제외한 연구소, 기술/사업부문, 운영, 고객지원서비스센터 인력을 의미함
주2) 전체는 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 인터넷SW(정보서비스)를 포함
주3) 협의 SW는 협의의 SW산업을 의미하며,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를 포함
주4) 인터넷SW(정보서비스)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 개정) 기준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63112),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63120),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63991)을 포함
공개SW 도입 분야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0.4)
주1) 공개SW 도입 기업 대상으로 한 결과임
공개SW 활용 여부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산업실태조사(2020.4)
주1) SW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임
SW산업 주가지수 추이
자료)한국거래소 KRX Indices(2020.1)
주1)각 년도 말일 기준 주가지수 기준
주2)코스닥 산업별 지수 기준시점은 1996. 7. 1, 기준지수 1,000으로 시작(단, 운송은 2000. 6. 4.일 기준)
주3)코스닥 IT SW/서비스 주가지수는 총 147개 기업(2020년 1월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가총액기준 대표기업은 펄어비스, 컴투스, NHN한국사이버결제, 아프리카TV, 안랩 등의 순임
공공부문 SW.ICT 장비 기관별 발주비중(2020년 기준)
자료) NIPA 공공 SW·ICT장비 수요예보(확정) 결과(2020.3)
공공부문 SW·ICT 장비 수요예보 추이
주1) 기타 항목에는 DBMS, 미들웨어 등이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