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포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한국이러닝산업협회 공동포럼 (결과)
  • 이호 역대 연구원
날짜2015.07.21
조회수10085
  • 한국 이러닝 산업과 SW교육 활성화 방안
    • 행사개요
      일 시 2015 07월 14일(화) 11:00~17:00
      장 소 COEX 3층 콘퍼런스룸(남) 308호
      논의안건 한국 이러닝 산업과 SW교육 활성화 방안
      참석자 선문대 노규성 교수, 청주대 이호건 교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김진형 소장 포함 주최측 10여명
      포럼 청중 100여명
  • 개최 결과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한 SW교육 활성화 방안
    • SW중심사회에서의 SW교육 열풍
    • SW는 상상을 실현하는 도구로서의 SW교육
    • SW교육 시장의 폭발과 어려움
    • 수요 폭증과 자원 부족의 대안으로서의 온라인 SW교육
    • 해외 대비 부족한 온라인 SW교육
    • (콘텐츠) 제공되는 과목의 편중, 오프라인 강의녹화영상
    • (콘텐츠) 교사용 자료 부족, 교육 로드맵 부족
    • (기능) 온라인 실습환경 미비, 동영상 지원 미비
    • (기능) 정보습득의 어려움, 사용자 참여 플랫폼 미흡
    • (사용자) 사용자 측면의 특화된 요구사항
    • 질향상, 다양화, 확산의 전략 실행 통한 자기주도학습, 실습 중심학습, 협동 학습, 개방형 체계 제안
  • 온라인 SW교육을 위한 법제 개선방안
    • SW교육의 법제 개선 필요성
    • 기본권으로서의 교육권
    • 정부 정책의 일관성 유지
    • 관련 법률 소개
    • 법률 정비 방안
    • (1안) 특별법의 제정
    • (2안) 교육 기본 법 등의 개정을 통해 SW교육과정 포함
    • (3안) SW산업 진흥법의 개정
    • (4안) 이러닝산업발전법의 활용
  • 공공기관의 무료 이러닝 서비스 개선방안
    • 고부가가치 지식 콘텐츠 산업으로서의 이러닝 산업
    • 이러닝 산업의 발전 역사와 현황
    •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서비스 실태
    • 중복 경험이 있는 56.1% 중 진출 포기한 업체가 35.4%, 21.7%는 중복사업 진행
    •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서비스에 대한 문제점
    • 대부분의 업체들이 공공기관 무료 이러닝 서비스로 인해 기존 사업을 포기하거나 신규사업 진출을 포기함으로 인해 매출(1억~10억 사이) 손해 발생
    • 또한 이로 인해 사업을 포기한 경우 매출 외에도 투자/비용 손실, 구조조정 손실, 사업전환 등의 추가적인 피해 발생했으며, 이러닝 서비스 시장을 잠식
    • 개선방안 제언
    • 무료 교육이 아닌, 의료보험식(교육바우처) 제도 마련
  •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민간 TTP Coordinator 제도화
    • 이러닝의 글로벌 진출 필요성
    • 우호적인 국가 확대 필요
    • 제조 중심의 수출 상품 한계
    • 서비스 무역 필요성
    • FTA활용 해외 거점 확보
    • ODA에 의한 경제협력 실행
    • 산업별 해외 진출 유형 다양화
    • 해외 진출을 위한 3대 요소: 상품, 기업, 인력
    • 해외 진출 현황
    • 해외 진출을 위한 핵심적 주요 요소
    • 기업간 협업, 정부의 지원
    • 재무적 문제, 해외 정보/현지화, 전문인력 양성
    • 이러닝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
    • 시장 접근 프로세스
    • 상호협력에 의한 추진
    • 민간 TTP Coordinator의 제도화로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