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당 슬라이드는 키보드(TAB)키로 이동 후 키보드(화살표) 운용,작동 가능한 슬라이드 입니다.
소프트웨어(SW) 통계포털
소프트웨어(SW) 통계포털은 SW생산, SW수출, SW인력, 신SW산업 분야 등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팝업존 이전 슬라이드
/
팝업존 다음 슬라이드
오늘하루 열지않기
통계서비스
주제별
간행물
소프트웨어산업실태조사
SW융합실태조사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
VR·AR산업실태조사
이러닝산업실태조사
정보
SW 분류체계
SW통계 유관 사이트
알림
공지사항
모바일 주 메뉴 닫기
전체메뉴
통계사이트 메뉴
SNS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스토리로 공유
네이버블로그로 공유
프린트
2014년 12월호 분야별 소프트웨어 산업 통계
SPRi
날짜
2014.12.20
조회수
10794
공유
가. 클라우드
통계명
전세계 퍼블릭 IT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전망
출처/시기
IDC / 2014. 11. 25
통계 내용
분석
2014년 전세계 퍼블릭 IT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규모, 566억 달러로 예상
향후 5년 간 연평균 22.8%씩 성장해 2018년 1,270억 달러 규모가 될 전망
2018년 퍼블릭 IT 클라우드 서비스는 전세계 소프트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 시장 성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
IT 벤더 및 신규 솔루션을 구축하는 IT 구매자들의 ‘클라우드 퍼스트’ 전략이 성장의 주요 요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이 혁신단계(Innovation Stage)에 진입하고 있어 클라우드 기반의 신규 솔루션 및 가치 창출 사례가 크게 늘어날 전망
시사점
클라우드에 기반을 둔 애플리케이션과 활용 사례가 폭발적으로 증가, 향후 대부분의 B2B 및 B2C 서비스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
클라우드를 활용한 새로운 솔루션으로 인해 기업의 IT 운영방식 뿐만 아니라 각 산업에서의 경 쟁력 확보 방안이 변화할 전망
나. 인터넷 비즈니스
통계명
한국 -일본 인터넷 사용자 침투율 (Penetration) (2013-2018)
출처/시기
eMarketer / 2014. 11. 26
통계 내용
분석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총 인터넷 사용자 수는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가 많지만, 인터넷 사용자 침 투율은 한국과 일본이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2104년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의 전체 인구 대비 인터넷 사용자 비중은 각각 47.5%, 33.0%,17.4%를 기록
한국과 일본의 2014년 인터넷 사용자 침투율은 각각 82.3%, 80.3%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1, 2위를 차지
시사점
한국과 일본의 인터넷 사용자 침투율의 성장이 둔화되는 반면,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의 인터넷 사 용자 침투율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
한국과 일본의 인터넷 사용자는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러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
중국의 침투율은 2016년을 기점으로 50%를 넘어 51.2%를 기록할 전망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2018년 침투율은 2014년보다 13.8%p, 9.3%p씩 증가해 각각 46.8%,26.7%를 기록할 전망
다. 금융
통계명
국내 금융 IT 서비스 시장 전망(2014-2018)
출처/시기
IDC / 2014. 11. 13
통계 내용
분석
2014년 금융 IT 서비스 시장, 2013년 성장률 3.6%에서 0.7%p 감소한 2.9% 성장 전망
2014년 금융 IT 서비스 시장, 2013년 대비 2.9% 성장한 2조 91억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
대형 사업 물량 감소와 예정 사업 지연 등이 하락세의 주요 요인
2013년 국내 금융 IT 서비스 시장은 프로젝트와 아웃소싱 전 영역에서 대규모 물량 감소 및 정체기를 보이며 대형 사업 기반 성장이 약화
2014년 상반기 금융권 내부 갈등 및 실적 부진 등으로 예정된 사업이 지연되며 2013년 둔화세를 심화시킨 것으로 추정
시사점
금융뿐만이 아닌 전체 IT서비스 시장에서 대규모 물량 감소 양상을 보이고 있어 금융 IT서비스 시장은 장기적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전망
법/규제 환경에 민감한 금융 산업 특성 상, 컴플라이언스 및 리스크 관리 요구는 꾸준히 증가
금융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관리 및 확충 수요를 바탕으로 2018년까지 향후 5년 간 연평균 3.3%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
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통계명
전세계 웨어러블 전자 피트니스 디바이스 출하량(2013-2016)
출처/시기
가트너 / 2014. 11. 18
통계 내용
분석
2015년 피트니스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 2014년 약 7,020만 대에서 6,810만 대로 소폭 감소할 전망
기존 주류 상품이었던 스마트 밴드 대신 유사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워치(스포츠 시계)에 대한 구매가 늘어나면서 나타난 일시적 판매 감소
2016년 이후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과 저가 디스플레이의 도입에 힘입어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전망
스마트 밴드, 스포츠 시계, 기타 피트니스 모니터기기, 심박수 측정 가슴 스트랩, 스마트 의복 등다섯 가지 폼팩터가 피트니스 웨어러블 기기의 주요 형태
기존 손목 밴드형 제품인 스마트밴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스포츠 시계형 스마트워치가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
스마트 의복 제품은 잠재적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로, 최근 실험단계를 벗어나 프로 운동선수 등 일부 계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
시사점
개인 건강상태 확인을 위한 피트니스 웨어러블이 사용되면서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산업이 나타날 전망
퀄컴, 애플, 구글, 삼성,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들은 웨어러블과 건강 모니터링의 초기 혁신을 주도
향후, 건강과 피트니스 관련 데이터 통합을 위한 인프라 구축 사례가 나타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
월간SW중심사회 2014년 12월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