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RE-177
2023년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연구
  • 유재흥AI정책연구실 책임연구원
  • 이지수AI정책연구실 위촉연구원
  • 안성원AI정책연구실 실장
날짜2024.04.29
조회수8436
  • 요약문
    • 1. 제 목 : 2023년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 연구
    •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ㅇ 생성AI 기술이 전세계적 이슈로 부상
      • - 2022년 11월 등장한 오픈AI社의 챗GPT(ChatGPT) 이후 인공지능 기술이 다시 한 번 역사적 변곡점을 맞이하면서 급성장
      • - 관련 하드웨어, 서비스 개발에 대한 투자뿐만아니라 전산업에서 AI융합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한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
      • - 한편, 확률적 산출물 조합에 기반한 생성AI 기술의 한계, 생성물의 오남요에 따른 사회적 부작용 등 AI에 대한 국제사회의 규제 움직임도 점차 가시화
      • - 이에, 알파고(AlphaGo)이후 2010년 중반부터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와 함께 사회적, 제도적 추이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시의성 있게 대응하는 정책적 민첩성의 요구도 높아짐
    • ㅇ 본 연구는 급변하는 국내외 인공지능 산업 동향을 파악하여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인공지능 활용 확산을 위한 정책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기본 목표
      • - 주요국, 기관, 학술단체, 주요 기업의 동향을 파악하여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AI 기술의 발전과 산업을 전망하여 시의적절한 AI 정책을 개발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 제공 및 정책 과제 발굴에 활용
      • - 인공지능 산업 관련 광범위한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외 AI 정책 관련 유용한 자료(정책, 법률, 권고사항 등)을 확보하여 정책 고도화에 활용
    • 3. 연구의 구성 및 범위
    • ㅇ 인공지능 산업 현황 및 시장에 대한 개괄적 정리
    • ㅇ 국내 및 해외 주요국·국제 기구 정책 동향
      • - 주요국에는 미국, 유럽, 중국, 일본, 영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싱가포르 포함
      • - 국제 기구/회의로 OECD, UN/UNESCO, G7정상회의, 세계경제포럼(WEF) 동향 분석
    • ㅇ 국내외 인공지능 주요 기업 동향 분석
      • - 해외 글로벌 빅테크(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오픈AI, 애플, 테슬라 등) 기업 및 국내 주요 기업 (네이버, 카카오)을 포함한 주요 AI 스타트업 동향 포함
    • ㅇ 국제 학술 단체 연구, 표준기관, 비영리 연구 기관 동향 분석
      • - IEEE, ACM 및 최상위 AI 컨퍼런스 발표 및 ISO/EC 국제 표준화 동향
      • - 국내 TTA 인공지능 표준화 동향 및 관련 인공지능 학회 주요 연구 동향
    • ㅇ 인공지능 교육 및 고용, 인력 개발 관련 동향 분석
    • 4. 연구 내용 및 결과
    • ㅇ 주요국 및 국제기관에서는 생성AI 관련 규범 정립 및 규제 추진
      • - 미국은 인공지능 청사진 마련, 신뢰성 있는 AI 개발을 위한 행정명령, 유럽은 인공지능법안 통과, 중국의 생성 AI 지침 마련, G7의 AI행동강령, 일본은 생성 AI 저작권 지침 수립 및 국내에서는 인공지능 기본법 제정 추진
    • ㅇ 생성AI의 핵심 기술 개발 및 관련 서비스 생태계에서 경쟁력 우위 확보를 위해 주요 기업들은 가치사슬의 수직 통합화를 가속화
      • -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아마존, 엔비디아 등 주요기업들은 인수합병, 전략적 투자를 통해 인공지능 반도체, 클라우드, AI플랫폼(모델), 애플리케이션에 이르는 인공지능 가치사슬의 수직통합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 ㅇ 생성AI 모델의 고도화, 경량화와 함께 인공지능 신뢰성 확보 연구 확대
      • -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투자를 통해 거대언어모델 성능 경쟁을 펼치는 추세에서 비용 효과적인 경량 모델, 오픈소스 활용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음
      • - 특히 생성물의 부정확성, 오류, 환각 현상, 잠재적 편향성 등 신뢰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이를 보완하거나 최소화 하기 위한 기술적, 정책적 대응 강화
    • 5. 정책적 활용 내용
    • ㅇ 본 연구 내용은 정부의 인공지능 정책 수립 (초거대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 전략 등) 및 관련 법안 마련 (인공지능 기본법)을 위한 현황 분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되었음
    • 6. 기대효과
    • ㅇ 국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시의성 있는 정보 제공으로 정부 정책 대응력 제고
    • ㅇ 동태적 동향 분석 체계 구축을 통해 일관적이고 지속적인 정책 고도화 기반 마련
    • ㅇ 업계, 연구자 및 이용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인공지능 관련 정책, 시장, 기업 전략, 표준, 인력, 연구 개발 동향 등 다양한 AI 현황 자료 제공함으로써 민간의 AI 산업 이해도 및 전략 대응력 향상에 기여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 제2장 인공지능 산업 현황 및 전망
    • 제1절 AI 산업 현황
    • 제2절 인공지능 산업 전망
    • 제3장 주요국 인공지능 정책 동향
    • 제1절 미국
    • 제2절 EU
    • 제3절 중국
    • 제4절 일본
    • 제5절 영국
    • 제6절 캐나다
    • 제7절 기타 주요국
    • 제4장 국제기구 인공지능 동향
    • 제1절 OECD
    • 제2절 UN/UNESCO
    • 제3절 G7
    • 제4절 세계경제포럼(WEF)
    • 제5장 인공지능 관련 주요 기업 동향
    • 제1절 국외 기업
    • 제2절 국내 기업
    • 참고문헌
    • 제6장 인공지능 기술 및 연구 동향
    • 제1절 국제 학술단체, 표준기관, 비영리 연구기관
    • 제2절 국내 학술단체, 표준기관, 비영리 연구기관
    • 제7장 인공지능 교육 및 인력 동향
    • 제1절 교육 분야
    • 제2절 인력 및 고용 분야
    • 제8장 결론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