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I 브리프
민관협력형 SW사업의 가능성과 제도화 방안
  • 심지섭 역대연구원
  • 산업정책연구실 이현승 실장031-739-7380
날짜2021.11.08
조회수9542
    • 사회기반시설(Infrastructure)의 제공은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국가의 의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사회기반시설은 국가의 예산으로 구축해왔는데, 정부 예산의 한계로 민간의 자본을 활용하는 민관협력사업(Public-Private-Partnership) 또는 민간투자사업이 17세기 프랑스를 시작으로 전 세계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1994년부터‘민간투자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민간투자법은 민간투자사업의 추진 방식·절차, 사업 지원 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다른 법령에 따른 민간투자사업 보다 근거와 절차가 명확한 장점이 있다.
    • 최근엔 SW가 중심이 되는 사회기반시설구축사업에서 민관협력이 도입되거나, SW기술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발견하고 솔루션을 도출, 사업화를 추진하는 사회문제해결사업에서 민관협력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이 중 전자와 후자를 각각 사회기반시설형 SW사업, 사회문제해결형 SW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공공영역의 SW사업을 민관협력방식으로 추진한 사례가 다수 있으나, 국내에선 지금까지 주로 정부의 재정사업으로 추진되어 왔다.
    • 민관협력의 장점은 정부예산 절감과 효율성 제고, 시장변화에 따른 탄력성 강화 등이 있는 반면, 대상 사업 및 사업자 선정, 사업협약 체결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 사업실패와 실패에 따른 부담을 정부가 부담할 수 있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민관협력형 SW사업의 성공적 제도화를 위해선 장점을 부각하며 단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민관협력형 SW사업에 관한 규정을 어느 법에 도입해야 적절한지 문제가 있다. SW산업진흥법에 이를 둘 경우 관련 규정을 새로 만들어야 하지만 SW사업에 특화된 절차와 규정을 마련할 수 있다. 한편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SW진흥법 전부개정안에는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사업’이라는 조문명으로 근거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해당 규정은 추진근거만을 담고 있어 하위법령을 통해 의의와 요건 등을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관협력형 SW사업은 국민의 재산권·환경권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다 유연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 Executive Summary
    • The provision of infrastructure is one of national obligation in terms of guarantee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As a result, the social infrastructures have traditionally been built with national budgets. However, as a limitation of the government budget, PPP(Public-Private-Partnership) utilizing private capital have begun to be introduced worldwide in the 17th century, beginning with France. In Korea, various private investment projects have been pursued based on the “Private Investment Law.” Private Investment Law has the merit that it has clear basis and procedures compared to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in accordance with other laws and regulations because it contains the specific provisions on private investment projects. such as the basis rule.
    • In recent years, PPP have been introduced in SW-base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and It have been adopted in social problem-solving projects that seek to find social problems based on SW technology. There are a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SW projects in the public sector are promoted by PPP projects, but in Korea, it has been mainly promoted by the government's financial business. The advantages of PPP include reducing government budgets, improving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resilience through market changes. However, if fairness and transparency are not guaranteed in the procedure of business, the government can be faced on the burden of business failure. Therefore, in order to successfully institutionalize the Public-Private Cooperative SW projec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advantages and minimize the disadvantages.
    • In this context, there is a problem in which law should be introduced to the regulation on the Public-Private Cooperative SW project. If this happens in the SW Industrial Promotion Ac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new regulation, but it can set up procedures and regulations specific to the SW business. Currently, the revision bill of the entire SW Promotion Act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has provisional basis for business under the title of "Private Investment-type public software project.”However, since the regulation only specifies the business basis as a single clause, it is necessary to specify meaning through the sub-legal legislation. but the Public-Private Cooperative SW project need to operate with flexible regul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y have little impact on property rights and environmental rights of the people.
    • Ⅰ. 연구배경
    • Ⅱ. 민관협력제도 개요
    • 1. 민관협력제도의 개념
    • 2. 해외 민관협력제도 개요
    • 3. 국내 민간투자제도 개요
    • Ⅲ. 민관협력형 SW사업의 제도화 가능성
    • 1. 공공SW사업과 민관협력형 SW사업
    • 2. 민관협력형 SW사업의 유형화
    • 3. 국내외 민관협력형 SW사업 사례
    • 4. 민관협력방식의 장단점과 정책방향
    • Ⅳ. 민관협력형 SW사업의 제도화 방안
    • 1. 법적 근거의 필요성 검토
    • 2. 입법 방안의 비교검토
    • 3. 구체적 법률규정사항에 대한 검토
    • Ⅵ. 결론
  • Contents
    • Ⅰ. Research Background
    • Ⅱ. Summary of Public-Private-Partnership
    • Ⅲ. Possibility to institutionalize Public-Private Cooperative
    • 1. SW Project
    • Ⅳ. How to institutionalize Public-Private Cooperative SW
    • 1. Project
    • Ⅵ.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