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SW) 통계포털은 SW생산, SW수출, SW인력, 신SW산업 분야 등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긍정 | 중립 | 부정 | 
|---|---|---|
					
  | 
					
					
  | 
					
					
  | 
				
| 처우의 문제 | 원거리 파견 시 비용 | 공과금 등 지원받기 모호한 비용 등의 문제 | 
|---|---|---|
| 회사마다 체재비의 기준이 달라 요구하기가 힘듦 | ||
| 숙식의 문제 | 프로젝트 기간 내내 모텔에서 지냄(숙소 마련의 문제) | |
| 상주 시 개발환경 | 좁은 회의실, 용품 구비 안 됨(개인 용품으로 써야 함) | |
| 비인간적 대우 | 지나친 보안검색, 차별적 휴가 지급 등 | |
| 인센티브 부재 | 체재비와는 별도로 위로비 지급되어야 함 | |
|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 업체 불만 대응 문제 | 파견나간 개발자들이 모든 리스크를 감수해야 함 | 
| 클라이언트사의 불합리한 요청 | 무상 유지보수(유지보수의 범위도 애매함) | 
| 개발자 처우 | 낮은 임금 | 하청의 재하청의 재재하청... 임금 꺾기가 진짜 문제 | 
|---|---|---|
| 현실과 제도의 불균형 | 포괄 임금제 폐지 | |
| 기업 | 프로젝트 비용의 | 문제 오히려 커뮤니케이션 비용 증가할 것 | 
| 인력 구성의 문제 | 값싼 해외 개발자들에 대한 수요 증가 | |
| 수주자 간 불균형 문제 | 서울, 수도권 기업들에게 수주가 집중 | |
| 산업 구조 | 개발환경 | 발주처와 떨어져 있을 뿐 개발환경은 변하지 않음 | 
| 계속되는 설계 수정의 의사결정권은 발주처에 있음 | ||
| 사업자가 확인하지 않으니 인력업체에서 개발자에게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시킬 듯 | ||
| 하도급 구조 | 원격지의 범위가 넓어지면 하도급 업체가 오히려 증가할 것 | 
| 총 경력 년수 | 응답자수 | 직무 | 응답자수 | 기관유형 | 응답자수 | 지역 | 응답자수 | 
|---|---|---|---|---|---|---|---|
| 3년 미만 | 16 | 기술 | 15 | 중앙정부 | 10 | 수도권 | 31 | 
| 3~5년 이하 | 22 | 행정 | 37 | 지자체 | 12 | 비수도권 | 28 | 
| 6년~10년 미만 | 8 | 연구 | 7 | 공공기관 | 37 | ||
| 10년 이상 | 13 | 
| 총 경력 년수 | 응답자수 | 직무 | 응답자수 | 기업규모 | 응답자수 | 
|---|---|---|---|---|---|
| 3년 미만 | 30 | 개발, 디자인 | 82 | 10인 이하 | 31 | 
| 3~5년 이하 | 39 | 마케팅, 관리 | 68 | 11~300인 | 98 | 
| 6년~10년 미만 | 31 | 법률, 사무 | 2 | 300인 초과 | 22 | 
| 10년 이상 | 52 | 모름 | 1 | 
| 원격개발 경험 여부 | 응답자수 | 지역 | 응답자수 | 
|---|---|---|---|
| 있다 | 62 | 수도권 | 129 | 
| 없다 | 90 | 비수도권 | 23 | 




| 채널명 | 네이버 블로그 | 네이버 카페 | 네이버 뉴스 | 다음 카페 | 
|---|---|---|---|---|
| 본문수 | 3,151 | 1,533 | 58 | 1,201 | 
| 댓글수 | 2,033 | 2,379 | 0 | 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