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유튜브(YouTube)의 파급효과와 의미
  • 이승환 역대 연구원
날짜2019.03.05
조회수81068
    • 유튜브는 이미 동영상을 넘어 음악, 뉴스, 검색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면 플랫폼(Multi Platform)으로 진화하고 있음
    • 기업들은 사업전략 수립 시 유튜브를 통해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고려하고, 정부는 인터넷 개인방송으로 야기되는 사회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임
  • 열광의 코드, 유튜브(YouTube)
    • 유튜브가 세계인들이 열광하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고성장하고 있음
    • 유튜브는 당신(You), 브라운관(Tube)의 결합어이며 2005년에 설립된 후 2006년 구글에 인수되어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세계적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성장 중임
    • 유튜브의 월 사용자 수는 19억 명에 달하며 전 세계인이 매일 유튜브에서 10억 시간 분량의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음1
    • 또한, 1분마다 400시간이 넘는 동영상이 추가되고 있으며 91개 국가에 80개국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 중임2
    • 국내의 경우, 유튜브 이용자의 72.1%가 평소 유튜브를 자주 이용(가끔 이용 25.1%)하고, 42.8%가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유튜브 사용하고 있음3
    • 2006년 인수 당시 16억 5천만 달러였던 기업 가치는 2015년 700억 달러로 추정되었으며4, 2017년에는 750억 달러로 평가를 받았고 이는 Twitter의 5배 규모임5
    • 유튜브는 국내에서 모든 연령층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플랫폼임
    • 전 세대를 합쳐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은 유튜브로 11월 한 달 317억 분을 이용하였음
    • 또한, 유튜브는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모든 세대에서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이며, 특히 10대는 유튜브를 가장 오래 사용한 세대임6
    • 표 1 연령대별 주요 App 사용시간 (단위 : 억 분)
      <표 1> 연령대별 주요 App 사용시간 (단위 : 억 분)
      구분 유튜브 카카오톡 네이버
      10대 112 25 16
      20대 65 45 20
      30대 50 41 31
      40대 42 40 34
      50대 이상 64 54 29
      ※ 자료 : WISE APP(2018년 11월 기준), 안드로이드 App 총 사용시간 기준 자료 재구성
    • 유튜브가 직업·검색·뉴스·음악·광고·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유튜브(YouTube) 파급효과
    • (직업) 유튜브 영상 창작자(YouTube Creator)는 유망 직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래 세대의 희망 직업 선호에서도 높은 순위를 차지
    • 표 2 세계 상위 수익 5위 유튜브 채널
      <표 2> 세계 상위 수익 5위 유튜브 채널
      구분 유튜브 채널(내용) 구독자 연 수익
      1위 Ryan Toys Review(장난감 리뷰) 1,700만 명 2,200만 달러
      2위 Jake Paul(뮤직비디오, 개그) 1,700만 명 2,150만 달러
      3위 Dude Perfect(스포츠, 액션) 3,700만 명 2,000만 달러
      4위 Dan TDM(게임) 2,070만 명 1,850만 달러
      5위 Jeffree Star(뷰티) 1,160만 명 1,800만 달러
      ※ 자료 : Forbes(2018.12.3.),“How This 7-Year-Old Made $22 Million Playing With Toys”재구성
    • 유튜브 영상 창작자는 자신이 만든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는 사람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튜브 영상 창작자의 성공 모델이 확산되고 있음
    • 7살인 소년 라이언이 운영하는 Ryan Toys Review 채널은 1,700만 명이 구독 중이며, 장난감 리뷰로 2018년 2,200만 달러의 광고수익을 창출7
    • 국내에서 유튜브 영상 창작자는 2018년 1월 한국 표준 직업분류에 정식으로 인정되었으며, 10년 만에 처음으로 초등학생 희망 직업 순위에 유튜브 영상 창작자가 등장
    • 통계청은 제7차 한국 표준 직업분류 개정에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로봇공학 시험원, 사용자 경험 및 인터페이스 디자이너 등 신규 직업을 반영8
    • 유튜브 영상 창작자는 초등학생이 선정한 희망 직업 5위9
    • 표 1 지원 규모
      <표 1> 지원 규모
      구분 2007년 2018년
      1위 교사 운동선수
      2위 의사 교사
      3위 연예인 의사
      4위 운동선수 조리사(요리사)
      5위 교수 인터넷방송 진행자(유튜버)
      6위 법조인 경찰관
      7위 경찰 법률전문가
      8위 요리사 가수
      9위 패션디자이너 프로게이머
      10위 프로게이머 제과/제빵사
      ※ 자료 :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8),“초중등 진로교육 현황
    • (검색·뉴스·음악) 유튜브가 기존 포털의 영역인 검색·뉴스·음악 분야에서 강자로 부상하고 있음
    • 유튜브의 활용 목적 중 정보 검색, 뉴스 소비 비중도 높아 유튜브 기존 포털사업자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
    • 그림 1 목적별 방문 사이트
      그림 1 목적별 방문 사이트
      ※ 자료 : 엠 브레인 트렌드 모니터(2018)
    • 유튜브는 2018년 네이버 최다 검색어에서 PC부문 1위, 모바일 부문에서 2위를 차지
    • 그림 2 2018년 네이버 최다 검색어 상위 20위
      그림 2 2018년 네이버 최다 검색어 상위 20위
      ※ 자료 : 네이버, 2018년 네이버 검색어 순위
    • 국내 모바일 이용자들은 음악 감상 시 유튜브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음
    • 음악 감상 앱 1순위와 2순위를 더하면 유튜브 점유율은 75.4%로 더 높게 나타남10
    • 15~18세(47.5%), 50대 이상(57.5%)이 음악 감상 시 유튜브 활용 비중이 높음11
    • 표 4 음악 감상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App 순위
      <표 4> 음악 감상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App 순위
      구분 App 응답자 비중
      1위 유튜브 43%
      2위 멜론 28.1%
      3위 지니 뮤직 7.7%
      4위 네이버 뮤직 6.5%
      5위 애플/삼성 뮤직 4.6%
      ※ 자료 : 인터넷기업협회(2018)“모바일 이용행태 보고서”재구성
    • (광고) 유튜브는 기존 미디어 광고의 규칙을 바꾸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유튜브는 30초 광고 대신 6초 범퍼(Bumper) 광고12기준을 적용했으며 이는 관심 없이 긴 광고와 콘텐츠를 참지 못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욕구를 반영한 것임
    • 밀레니얼 세대가 광고에 시선을 뺏기는 시간은 5~6초에 불과하며, 유튜브에서 진행되고있는 6초 광고에 대해 연구한 결과 90%가 광고를 기억했으며 61%의 브랜드 인지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음 13
    • 기업과 유튜브 영상 창작자와의 광고 협업이 확대
    • 나이키는 유튜브 영상 창작자 Casey Neistat과 협업하여 나이키 Fuel Band 유튜브 광고를 제작하였고, 3일 만에 조회 수가 900만에 이르렀으며, IT 매거진Mash able은 이 광고를 가장 성공적인 상표 이야기로 평가 14
    • 그림 3 NIKE Fuel Band 광고,“Make It Count”
      그림 3 NIKE Fuel Band 광고,“Make It Count”
      ※ 자료 : youtube.com
    • 2018년 유튜브의 매출은 110억~200억 달러로 구글 전체 매출의 10~18%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15 국내 동영상 광고 시장에서도 40.7%를 점유하고 있는 상황임
    • 국내 인터넷 동영상 광고로 유튜브가 1,169억 원(40.7%), 페이스북이 930억 원(32.4%) 매출을 각각 올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두 회사를 합친 시장 점유율은 73.1%에 달함 16
    • 두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2017년 상반기 같은 조사에서 나온 67.5%보다 6%늘어난 수준
    • (정책) 자극적인 영상이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현재 규제는 공백 상태임
    • 유튜브를 포함한 개인 인터넷방송에서 조회 수를 높이기 위한 혐오, 폭력 등 자극적인 영상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개인 인터넷방송 신고 건수는 2015년 306건, 2016년 1,136건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2017년 상반기에만 625건에 달하고 있음17
    • 현재 유튜브와 같은 사업자는 방송법에서 규정하는 방송사업자가 아니며, 전기통신사업 법상의 부가통신 사업자에 해당하여 규제를 받지 않고 있는 상황임
    • 방송법에서는 방송사업자를 지상파방송사업자·종합유선방송사업자·위성방송사업자 등으로 구분하고, 방송 프로그램은 공익성과 공정성의 기준에 따라 방송된 이후 방송 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심의를 받게 됨
    • 표 5 방송과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 비교
      <표 5> 방송과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 비교
      구분 방송 인터넷 개인방송
      공적 책임 있음 없음
      사업 개시 허가, 승인, 등록 신고
      사업자 제한 결격사유 명시 없음
      등급 분류 의무 없음
      편성 채널 구성 규제 없음
      방송 보존 의무 없음
      사전 심의 의무 없음
  • 시사점
    • 유튜브는 이미 동영상을 넘어 음악, 뉴스, 검색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다면 플랫폼(Multi Platform)으로 진화하고 있음
    • 기업들은 유튜브로 인해 변화하는 소비자 행동을 고려하여, 사업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가 있음
    • 가까운 미래에 경제 주체가 될 유튜브 핵심 이용자층인 Z세대(13~24살)를 고려한 마케팅전략을 고민해야 할 필요가 생김
    • 정부는 인터넷 개인방송으로 야기되는 사회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임
    • 혐오, 폭력 등 반사회적 영상을 차단하고, 영상 트래픽의 증가로 야기되는 망 사용료 이슈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
    • ※ 자료 : 국회 입법조사처(2016),“인터넷 개인방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 Wall Street Journal(2017.2.27.),“YouTube Tops 1 Billion Hours of Video a Day, on Pace to Eclipse TV”.
    • 2youtube.com
    • 3엠브레인 트렌드 모니터(2018)
    • 4Bank of America(2015)
    • 5C NBC(2017. 7. 25.),“How much YouTube would be worth if it were a stock”.
    • 6WISE APP(2018년 11월 기준), 안드로이드 App 총 사용시간 기준.
    • 7Forbes(2018.12.3.),“How This 7-Year-Old Made $22 Million Playing With Toys”.
    • 8통계청(2017),“제7차 한국 표준 직업분류 개정고시”.
    • 9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8),“초중등 진로교육 현황”.
    • 10인터넷기업협회(2018),“모바일 이용행태 보고서”.
    • 11인터넷기업협회(2018),“모바일 이용행태 보고서”.
    • 12범퍼(Bumper)는 2016년 도입되면서 기존의 광고 포맷인 트루뷰 인스트림(True view Instream)이 광고를 시청한 지 5 초가 지나면 건너뛰기가 가능한 것과 달리 범퍼는 건너뛰기를 할 수 없으며, 광고길이는 최대 6초로 제한되어 있음.
    • 13미국 시장조사 기관 컴스코어 조사결과
    • 14Robert Kyncl & Maany Peyvan(2017),“STREAMPUNKS: YouTube and the Revolutionaries Remaking Entertainment”.
    • 15Wall Street Journal(2018); 현재 구글은 유튜브의 매출을 공개하지 않고 있음.
    • 16메조미디어(2018),“2018년 상반기 업종분석 리포트”.
    • 17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성수 의원실,“최근 3년간 개인 인터넷방송 신고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