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IoT 시장 및 정책 동향 - 웨어러블을 중심으로
  • 강송희 역대연구원
날짜2015.09.18
조회수21116
    • IoT 의 경제적 효과는 2025년 기준 세계 경제의 11%에 해당
    • 그 중 웨어러블 시장은 2015년 현재 태동기로 향후 5년간 매년 42.6% 성장
    • 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뿐 아니라 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주요 시장 동향
    • (IoT 전체 시장 전망) 2025년까지 연간 3.9조 달러~11.1조 달러의 경제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되며 이는 2025년 세계 경제(GDP)의 11%에 해당(McKinsey Global Institute, 2015. 6)
    • (웨어러블 시장 전망) 2015년 스마트워치와 밴드 이외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제품이 출시되며 웨어러블 기기가 대중화되는 원년이 되었음
    • 세계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 전망
    • (웨어러블 반도체 시장) 웨어러블 반도체 매출은 2019년까지 42억불로 전체 반도체 매출의 1% 정도에 불과(Gartner, 2015. 9)
    • (서비스 매출의 확대) 웨어러블을 포함한 IoT를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이 가능하며 오히려 서비스가 주 매출을 이룰 것(Gartner, 2015. 9)
    • (스타트업 시장) 2017년까지 IoT 솔루션의 50%가 스타트업으로부터 생성되는 등 스타트업의 역할이 중요함(Gartner, 2015. 9)
    • (도전 과제) 웨어러블 제품은 사용성 개선, 부족한 배터리 사용시간 개선, 발열 처리, 방수, 내구성 개선, 킬러앱의 개발, 디자인 개선, 보안성 개선, 지적재산권 문제 해결, 상호운용성 확보, 데이터 분석의 난제 해결 등이 필요
    • (상호운용성) 특히 IoT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운용성이 확보되는 경우 4조 달러 이상의 가치를 더 창출해 낼 수 있음(McKinsey Global Institute, 2015. 8)
    • 주요 국외 웨어러블 기업 동향
    • 주요 국내 웨어러블 기업 동향
  • 주요 정책 동향
    • (주요국 동향) 미국의 제조업 본국회귀전략(Reshoring Initiative), 중국의 ‘사물망 12-5 발전 계획’, EU의 Action Plan, 독일의 Industry 4.0 전략, 일본의 I-Japan 2015 전략 등 웨어러블을 포함한 사물인터넷 대비 정책이 주목
    • (국내 동향) 미래부 IoT 기본계획 수립,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착용형 스마트기기) 발표, 산업부 17개 기술로드맵 발표
    • (WTO 관세 철폐) 7월 24일(현지시각) 세계무역기구(WTO)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52개 IT제품 교역국 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정보기술협정(ITA)협상을 열고, 반도체를 포함한 201개 정보기술(IT) 품목의 관세철폐에 합의
    • 올해 한국 사물인터넷(IoT)부문 매출은 624억 달러(73조 원)으로 전망됐으며, 이 같은 성장세는 지난해 대비 29%의 성장률 기록
    • 특히 사물인터넷 시장은 공공영역과 기업간 거래에서 급증하는 추세
  • 웨어러블 사례
    • (형태) 시계, 안경, 팔찌, 셔츠, 신발, 반지, 목걸이, 헤어밴드, 패치 등 신체 여러 부위에 입거나 붙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짐
    • (의의) 사용자 정보(Quantified Self)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
    • (국외) 피트링스의 스마트 패치(CES 최고 혁신상), 센서리아의 스마트 양말, 시티즌 사이언스의 D셔츠, 애플 워치, 닉시의 드론, 화웨이 워치 등
    • (국내) 쓰리엘랩스의 풋라거(CES 혁신상), LG 어베인, 닷의 점자 스마트워치, 인포마크의 스마트워치 ‘준’, 인바디의 인랩·인밴드 등
    • (공공부문) 구급대원과 응급실 의사가 연결되는‘스마트 의료지도’시범 사업, 국립해양조사원의 해양안전용 웨어러블 장비 무료 대여 사업 등
    • 주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례
  • 시사점
    • (파편화된 시장) IoT 시장은 범용 제품이 주도하기보다는 다품종이 존재하는 작게 쪼개진 시장이 될 것이며 그에 따라 스타트업의 역할이 중요함
    • (도전 과제) 웨어러블 제품은 사용 편의성 개선, 디자인 개선, 보안성 개선, 상호운용성 확보, 데이터 분석의 난제 해결 등이 필요
    • (정부의 역할) 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뿐 아니라 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 조성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커뮤니티 지원, 스타트업 환경의 견실화, IoT 관련 R&D 세제 지원 정책 등이 필요